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9

설계순서 수전용량과 수전전압 전력회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경우 수용가의 사용전력을 추정 계산한 후 수전용량의 크기에 따라 한국전력공사의 공급규정에 의하여 수전전압을 결정한다 계약전력 100kw 미만의 경우 저압으로 공급이 가능하나 수용가의 요구에 따라서 고압 또는 특고압으로 공급 받을 수 있다. 계약전력 100kw이상의 경우 계약전력이 100kw 이상인 경우는 고압 이상으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으나 우리나라의 배전선로가 특고압 22.9kv로 승압 공급되고 있으므로 보통 특고압으로 수전하고 있다. 공급전압은 3.3kv, 6.6kv, 22kv, 22.9kv, 154kv, 345kv 중 하나를 택하도록 되어있다. 수전방식 수전방식을 선정 시 다음과 같은 사항을 검토해야 한다. 건물용도 및 부하의 중요도를 고려한다. 예.. 2023. 8. 18.
수변전설비 수변전설비의 개요 수전점에서 변압기 1차측까지의 기기구성을 수전설비라하고 변압기에서 배전반까지를 변전설비라하며 수용가 구내에 전력회사로부터 전력을 수전하고 변전설비를 시설하여 구내에만 배전하고 구외로 전력을 전송하지 않는 설비를 수변전설비 또는 자가용 수변전설비라한다. 수변전설비의 분류 시설장소에 따른 분류 옥외형 : 일반적으로 주변압기, 개폐장치 등의 고전압설비는 옥외에 설치하고 배전반, 축전지 등의 제어용 기기는 옥내에 설치하는 방식이다 옥내형 : 주변압기, 개폐장치 등의 고전압설비는 물론 배전반, 축전지 등의 제어용 기기를 옥내에 설치하는 방식이다. 수전전압에 의한 분류 고압 수변전설비 : 대규모 빌딩, 초고층 빌딩, 대규모 공장 등에서 2차 변전실용으로 사용된다. 특고압 수변전설비 : 수전전압이 .. 2023. 8. 16.
전기설비의 기본개념 전기설비 건축물 내에서 전기에너지는 모든분야에 매우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처럼 인간이 문명사회를 형성하는 데 전기에너지는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문명의 발달과 함께 생활환경에 대한 쾌적한 환경을 더욱더 요구하게 되는데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건축물이 원활한 기능을 갖도록 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전기설비가 반드시 필요로 하여 매우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전기설비는 기능적인 분류와 전류의 크기에 의한 분류, 전기사업법에 의한 분류로 나눌 수 있다. 기능에 의한 분류 전원설비 전원설비는 전력회사로부터 전력을 수전하는 수전설비, 부하의 사용전압으로 강압하거나 설비나 기기를 보호하는 변전설비, 비상용 전원설비로서의 발전설비, 직류전원설비인 축전설비, 컴퓨터용 전원 등에 정전압.. 2023. 8. 13.
회로 관련 용어 전하, 기전력, 전력 전하 : 물질이 띤 전기를 전하(량)이라고 하며 양, 음 전하 등이 존재하며 단위는 쿨롱을 사용하며 전자 1개의 전하는 1.602*10^-19의 크기를 나타낸다. 전하는 양자 혹은 양이온이 갖는 정전하와 전자 그리고 음이온이 갖는 부전하로 구분된다. 전류 : 전하가 이동하는 통로를 회로라하고 단위는 암페어로 나타내며 전류는 회로의 어느 단면을 미소시간 dt에 통과하는 미소전하의 양 dq의 크리로 정의하는 것으로 나타낸다. 전위차 : 어느 회로 내에 두 점이 있어 그 중 한 점으로부터 다른 점까지 단위 양전하가 이동할 때 얻거나 읽는 에너지로 단위는 V를 사용한다. 여기서 1V는 1C의 전하가 두 점간을 이동할 때 얻거나 잃는 에너지가 1J일 때의 전위차를 의미하며 미소전하 dq가 이.. 2023. 8.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