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9 반도체 전력변환기기 전력용 반도체 소자 반도체 소자 실리콘이나 게르마늄으로 만들어지는 반도체 소자는 주로 전자공학 분야에서 작은 신호를 증폭하여 큰 신호로 만들거나 신호의 모양을 바꾸어 준다든가 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대표적인 반도체 소자로는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FET 등이 있다. 반도체 소자가 사용되기 시작한 초기에는 소자가 견딜 수 있는 전압이 10~20V, 취급할 수 있는 전류도 수십~수백mA정도가 고작이었으나,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전압과 전류의 용량을 크게 만들 수 있게 되었다. 근래 반도체 소자를 제작하는 기술은 수천V의 전압을 견딜 수 있고 수천A의 전류를 도통시킬 수 있는 정도의 수준에 이르렀으며, 이에 따라 전자공학 분야에만 사용되던 반도체 소자는 이제 전력공학에서도 전력변환을 위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도.. 2023. 8. 8. 동기기 동기기의 원리 동기발전기의 원리 동기발전기는 고정자에 기전력을 유도하는 전기자 권서을 감고 자속을 공급하는 자극 N, S를 일정속도로 회전시키면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에 따라 사인파 교류 기전력을 발생한다. 도체와 자극의 위치에 따른 기전력의 크기는 자극이 0도일 때 정방향의 최대 유도 기전력, 180도의 위치에서는 최소 유도 기전력이 발생하며 1회전하게 되면 전기자 권선에는 1사이클의 교류 기전력이 유도된다. 교류 기전력을 발생하는 방법으로는 회전 전기자법과 회전 계자법이 있다. 전기자가 회전하는 회전 전기자법은 고정자 권선에 직류 여자전류로 발생된 평등 자기장 안에서 전기자 도체를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키면 전기자 도체에는 교류 유도 기전력이 유도된다. 이 유도 기전력은 슬립 링과 브러시를 통하여 외부회.. 2023. 8. 6. 유도 전동기 유도전동기 원리 유도 전동기의 회전원리는 회전 자기장에 의해 회전자 코일에 유도된 전류와 회전 자기장과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전자력이 발생되어 회전자를 회전시키며, 이와 같은 동작원리는 직류 전동기의 회전원리와 똑같다. 그러나 직류 전동기와 다른 점은 회전자에 전류를 공급하는 방법이 다르다. 직류 전동기는 브러시를 통해서 회전자 코일에 직접 전류를 공급해 주지만, 유도 전동기는 먼저 고정자 권선에 전원을 인가하여 회전 자기장을 만들고 이 회전자기장이 회전자 도체에 유도전압을 유기시켜 유도 전류를 간접적으롤 공급한다. 유도전동기의 회전원리는 일단 회전자 도체 주변에 영구자석을 회전시켜야 자속의 이동방향으로 회전자가 회전한다. 아라고의 원판을 돌릴때처럼 실제로 영구자석을 외부에서 회전시킨다는 것은 매우 어려.. 2023. 8. 4. 변압기 변압기의 원리 자기회로 철심으로 만들어진 회로에 자속을 흐르게 하려면 코일을 철심에 한 번이상 감아주고 전류를 흘리면 기자력이 발생되고, 이 기자력에 의해 자속이 흐른다. 이때 자속을 흘리기 위한 기자력의 크기는 코일의 권선수와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곱으로 결정된다. 기자력이 구해지면 직렬 자기회로의 평균길이가 1m인 어떤 자기재료를 자화시키는 자계의 세기는 암페어 주회적분정리에 따라 구해진다. 히스테리시스 곡선 자화되지 않은 철심의 자기회로에 코일을 감고 교류를 흘리면, 자화력이 일정지점까지 전류가 증가하고, 철심의 자속밀도는 자기 포화점에 이른다. 다시 반대로 전류가 흐르면 철심의 자속밀도는 자기포화점에 도달한다. 이와같이 자속밀도와 자화력의 상호관계를 평면에 그려나가면 자기재료에 따라 서로 다른 루.. 2023. 7. 30.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