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전기설비의 기본개념

by 찌릿찌릿뽕 2023. 8. 13.

전기설비

건축물 내에서 전기에너지는 모든분야에 매우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처럼 인간이 문명사회를 형성하는 데 전기에너지는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문명의 발달과 함께 생활환경에 대한 쾌적한 환경을 더욱더 요구하게 되는데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건축물이 원활한 기능을 갖도록 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전기설비가 반드시 필요로 하여 매우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전기설비는 기능적인 분류와 전류의 크기에 의한 분류, 전기사업법에 의한 분류로 나눌 수 있다.

 

기능에 의한 분류

전원설비

전원설비는 전력회사로부터 전력을 수전하는 수전설비, 부하의 사용전압으로 강압하거나 설비나 기기를 보호하는 변전설비, 비상용 전원설비로서의 발전설비, 직류전원설비인 축전설비, 컴퓨터용 전원 등에 정전압, 정주파수를 위한 무정전 전원설비로 되어 있다.

배전 및 배선설비

전력을 변전실로부터 전력부하로 공급하는 전력공급설비는 각 부하설비에 공급망을 통해 전력을 분배하는 설비로서 대단히 중요한 설비이다. 이것을 대용량으로 집약하여 보내는 간선설비와 각각의 부하에 공급하는 분기회로로 구분되며 배선방식으로는 전선관, 플로어덕트, 셀루러 덕트, 평형보호층배선, 통합 배선시스템, 버스덕트 등이 있다.

전력부하설비

전력부하설비는 일반조명설비, 비상조명설비, 옥외조명설비 등의 조명설비와 급수, 배수, 위생, 냉난방설비, 반송걸비 등의 시설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설비와 비상 엘리베이터, 배기팬, 소화펌프 등의 비상전원을 공급받아 동력을 전달하는 비상동력설비, 일반콘센트설비 및 비상콘센트 등으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전기에너지를 소비하는 설비를 전력부하설비라 한다.

감시제어설비

부하설비의 기동, 정지, 역전, 속도가변, 보호 등의 제어와 상태감시를 수행하는 설비인 제어, 감시, 조작설비와 전등, 동력, 전원설비 등의 원격조작 및 감시제어를 한 곳에서 정보를 집중하여 실시함으로써 유지, 관리비를 절감시키는데 목적을 두는 설비로서 최근에는 컴퓨터를 응용함으로써 감시제어설비의 합리화를 도모하고 있다.

반송설비

사람이나 물품을 운반하는 설비로서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덤웨이터, 컨베이어 및 에어 슈터, 콘도라 등의 설비를 반송설비라 한다.

정보통신설비

일정장소 내에서 무선호출을 위한 페이징설비 내부의 특정장소간 통화수단인 인터폰설비, 건물 내부와 외부의 통신수단인 전화설비 및 데이터통신설비, 시각에 의한 정보수단인 TV 공청설비, 위성통신설비, 시각정보 전달기능의 전기시계설비, 구내 데이터통신을 위한 LAN설비, 주차관제설비, 원격검침시스템 등을 정보전송설비라 한다.

방재설비

방재설비는 건축물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재난에 대한 방지 또는 감시시스템을 말한다. 화재 관련설비로 화재의 조기발경과 자동통보기능인 자동화재탐지설비, 도난 및 불법침입자에 대한 방지설비인 방범설비와 건물을 뇌해로부터 보호하는 피뢰설비, 그리고 항공장애설비 등이 있다.

 

전류에 의한 분류

강전류

전등설비, 동력설비, 간선설비, 구내배선설비, 축전지설비, 자가발전설비, 피뢰침설비, 접지설비 등이 있다.

 

약전류

전기시계, 반송설비, 자동화재탐지설비, 배연설비, 비상통보설비, 신호표시설비, 인터폰, 고주파 펄스에 의한 신호회로 등이 있다.

 

전기사업법에 의한 분류

전기사업용 전기설비

전기사업자가 전기사업을 목적으로 설치한 전기설비로서 발전, 변전, 송전, 배전, 통신 전기설비 및 이를 관리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모든 설비를 총괄하여 사업용 전기설비라 한다.

일반용 전기설비

사업용 및 자가용 전기설비를 제외한 소규모 전기설비로서 주택, 상점, 소규모 공장 등과 같이 한정된 구역에서 전기를 사용하기 위한 설비를 말한다.